
ETF는 세 가지 종류로 구분한다. 구분 예시 국내주식형 ETF KODEX 200, TIGER 200 기타 ETF (채권, 해외지수, 파생형) KINDEX미국S&P500, TIGER미국S&P500 해외상장 ETF SPY, QQQ, DIA 국내주식형 ETF는 국내에 상장된 주식들로 구성된 ETF이다. 기타 ETF는 채권 추종이나 해외지수 추종, 인버스나 레버리지 ETF 등 국내주식형 ETF 외에 국내에 상장된 모든 ETF들이다. 해외 상장 ETF는 해외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ETF들로 대표적으로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미국 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ETF들이 있다. ETF에 투자하여 얻는 수익은 "분배금(배당금)"과 "매매차익"이다. 이 "분배금(배당금)"과 "매매차익"에 대한 소득세가 각각 부과된다. ..

연금저축펀드와 IRP는 증권사에서 가입할 수 있는 연금 상품으로, 연말정산에서 세액공제가 가능하다. 55세 이후 노후생활을 위해 자금을 확보하도록 유인하기 위한 것으로 그 혜택이 꽤 크다. 연금저축펀드와 IRP는 대체로 공통점이 많지만, 조금씩 다른 점도 있어 어떤 상품을 가입하면 좋을지, 조사해 보았다. 표로 간단하게 정리하였고, 아래에 세부 설명이 이어진다. 가입대상 연금저축펀드는 누구나 가입할 수 있지만, IRP는 소득이 있는 사람(직장인, 자영업자 등)만 가입이 가능하다. IRP에 가입하려면 가입대상확인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가입대상 확인서류는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 소득금액 증명원,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 재직증명서, 사업자등록증(자영업자)이다. 비대면으로 가입하더라도, 위 확인서류를 팩스..